본문 바로가기
무기백과

무기백과, 미국의 항공모함전단의 규모와 위력

by 디지털 개척자 2023. 4. 28.
반응형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항모전단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항모전단

 

미해국 항모전단의 위력과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 세계 모든 해군전력을 모두 모아서 대항해도 미국의 해군 전력에는 못 미친다는 속설이 있을만큰 미 해군의 전력은 대단하다. 그 중에서도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항목전단은 한개의 전단이 국가급의 전력과 맞먹을 정도로 강력하다. 이글에서는 미 해군 항목전단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 보겠다

목차

1.소개 (Introduction)

2. 미 항모전단의 구성

3. 미항모전단의 규모

4. 미항모전단의 한계와 도전 과제들

 

1. 소개 (Introduction)

항모전단은 해군 항공대의 작전을 지원하고 항공모함을 호위하기 위한 기동함대로, 항공모함 1척과 3~4척 이상의 이지스 전투함, 2척 이상의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는 군수지원함 등으로 구성된다. 휘하에 함재기 운용을 담당하는 항모비행단(Carrier air wing)을 두고 있다. 항공모함은 항공기 운용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크기와 배수량에 비해서 무장이 빈약하다. 함재기가 항공모함의 함포와 미사일의 역할을 해주지만 항공기를 발진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함재기를 발진시키지 않은 항공모함은 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항공모함을 상대의 미사일, 어뢰, 전함, 항공기, 잠수함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함 및 잠수함과 함께 출격한다. 전단장은 소장 혹은 준장 계급을 가진 해군 제독이 보임된다. 경우에 따라서 항해병과의 장교가 맡을 수도 있고, 항공병과의 제독이 맡을 수도 있다.

미국의 항공모함은 세계 최강의 해군으로 평가되는 미국 해군의 핵심 무기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미국은 현재 11척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10척은 항공모함 CVN(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계열이며, 1척은 LHD(Amphibious assault ship) 계열입니다. 미국의 항공모함은 세계 최강의 항공모함으로 평가되며,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군사 작전 및 수송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해외 군사 기지를 지원하고, 국제 위기 상황에서 특별한 지원 역할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항공모함은 대규모 인력과 기술력, 그리고 거대한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막대한 국방 예산을 필요로 합니다.

 

2. 미 항모전단의  구성

미국 항공모함 전단은 일반적으로 항공모함, 구축함, 순양함, 잠수함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들 함선은 함께 작전을 수행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미국 항공모함 전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미국 항공모함 전단은 이러한 함선들이 함께 작전을 수행하여,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 항공모함: 항공모함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의 작전을 수행하는 주력 함선입니다. 미국의 경우 최신 항공모함으로 "조지워싱턴", "린콜른", "로널드 레이건" 등이 있습니다.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USS George Washington (CVN 73)


2) 구축함: 구축함은 적극적으로 적의 공격을 방어하고, 탐지 및 추적을 수행하는 함선입니다. 대표적으로 "아르리버크급" 구축함이 있습니다.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USS 그리들리 (DDG-101)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USS 그리들리 (DDG-101)


3) 순양함: 순양함은 대량의 유효 사격력을 활용하여 적의 함대를 파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대표적으로 "티콘데로가급" 순양함이 있습니다.

 

타이콘데가로급 이지스 순양함 (CG-47)
타이콘데가로급 이지스 순양함 (CG-47)


4) 잠수함: 잠수함은 적의 함대 및 수중 자원을 탐지하고 파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미국의 경우 "버지니아급"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컬럼비아급 전략핵잠수함 (SSBN)
컬럼비아급 전략핵잠수함 (SSBN)

 

3. 미항모전단의 규모

미국의 항공모함은 세계 최강의 해군으로 평가되는 미국 해군의 핵심 무기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미국은 현재 11척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10척은 항공모함 CVN (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계열이며, 1척은 LHD (Amphibious assault ship) 계열입니다.

1) 항공모함 CVN(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미국의 항공모함 CVN 계열은 핵 동력을 사용하며, 대규모 공격과 장거리 전투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항공모함들은 수십 대의 항공기와 함께 공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대규모 공습과 공수 지원 작전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가장 최신형인 조지 H.W. 부시(미국 해군 CVN-77 USS George H.W. Bush)는 103,000t급으로, 이전의 미국 항공모함과는 다르게 전자전 능력과 공중 수색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2) LHD(Amphibious assault ship)
미국의 LHD 계열 항공모함은 상륙 작전을 지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항공모함 CVN 계열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전투기 대신 헬리콥터와 수송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해병대와 같은 지상 군력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병력과 무기를 운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항공모함은 미국의 경제적인 전략과 함께, 지속적인 해외 작전 및 연습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항공모함은 세계 최강의 항공모함으로 평가되며,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군사 작전 및 수송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해외 군사 기지를 지원하고, 국제 위기 상황에서 특별한 지원 역할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항공모함은 대규모 인력과 기술력, 그리고 거대한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막대한 국방 예산을 필요로 합니다.

 

4. 미항모전단의 한계와 도전 과제들

미국의 항공모함은 그 크기와 전투력 때문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항공모함의 특징인 장거리 전투와 대규모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들과는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국의 항공모함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도전적인 상황들이 있습니다.

1) 중국의 해군 강화
중국은 최근에 해군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항공모함과 함께 새로운 무기와 장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해군은 현재 최신형 항공모함 두 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은 자사의 항공모함 업그레이드 및 새로운 항공모함 건조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선진국들의 군사력 강화
미국의 주요 경쟁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물론 유럽의 선진국들도 최신 무기와 장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자신들의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향은 미국의 항공모함 역시 적극적인 대응을 필요로 합니다.

3) 예산 축소
미국 국방예산은 최근 몇 년간 축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항공모함의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예산이 축소되면서 이를 충당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4) 새로운 유형의 전술 우위
미국은 최근 들어 항공모함보다는 무인항공기나 지상군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무기 시스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무기 시스템은 항공모함보다는 저비용이며, 더 높은 전술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미국의 항모전단의 규모와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